관리 메뉴

happyday**

[임상심리사2급] 2013년 기출문제 본문

자격증

[임상심리사2급] 2013년 기출문제

dlrudals__* 2023. 4. 7. 18:53
반응형

<2013>

임상심리학자의 수련과 관련하여 제시된 과학자-전문가 모델의 의미를 설명하시오. [07, 13]

볼더(Boulder) 모델이라고도 하며, 과학과 임상 실습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임상심리학자가 과학자이자 서비스제공자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것을 강조하였다.

임상심리학자는 과학자와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훈련받음으로써 이론적, 학문적, 응용적, 임상적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.

 

각각의 검사를 하나씩 분석(Test-by-test)하는 방식의 장·단점을 설명하시오. [10, 13]

장점

- 각각의 검사 결과를 한 번에 하나씩 보여줌으로써 자료가 어디서 나오는지 명확하게 제시해준다.

-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임상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추론하는지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준다.

단점

- 검사에 대한 강조는 읽는 사람의 주의를 흐트러뜨리며, 내담자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보다는 수치에 의존하도록 한다.

- 자료의 분산으로 인해 내담자의 문제와 관련된 역동을 적절히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며, 검사영역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어렵게 한다.

 

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(MMPI)의 타당도척도 4가지를 쓰고,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. [13]

?척도(무응답 척도, Cannot Say) : 응답하지 않은 문항 또는 그렇다’, ‘아니다모두에 응답한 문항들의 총합이다.

L척도(부인 척도, Lie) : 수검자가 자신을 좋게 보이려고 하는 다소 고의적이고 부정직하며 세련되지 못한 시도를 측정한다.

F척도(비전형 척도, Infrequency) : 비전형적인 방식으로 응답하는 사람들을 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, 수검자의 부주의나 일탈된 행동, 질문 항목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을 측정한다.

K척도(교정 척도, Correction) : 분명한 정신적인 장애를 지니면서도 정상적인 프로파일을 보이는 사람들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, 수검자의 심리적인 약점에 대한 방어적 태도를 측정한다.

 

반응형